-소스코드를 기능별로 묶어 놓은 것이 함수(멤버함수)
-클래스 안에 함수 만들어서 함수 안에서 소스코드가 실행되는 방식으로 작동됨
-클래스 name 고칠 땐 대상 위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한 후 Refactor - Rename 에서 변경
-형변환 = 캐스팅(Casting)
-타입 바꿀땐 cast연산자 사용(단항 연산자이며 우선순위 2순위로 실행됨)
-스캐너 사용시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이건고정
double math = sc.nextDouble(); <<몇개를 입력 받던 스캐너 윗줄 1개 먼저 쓰고 이것부턴 필요한 만큼 반복 사용
-main에서 new Type...실행할클래스명. 찍으면 오토로 코드 만들어짐
-형변환시 큰애는 작은 방에 못감. 그럴땐 강제 형변환 시켜줘야함
String+int=String, +문자열합치기, ()로 묶으면 먼저계산(연산자. 1순위 최우선 연산자)
-byte+byte 결과형은 int로 바뀜(자바만 바뀐다함) 바이트에 대입하면 그래서 오류 발생함
()연산자나 int로 변환해야 함
-한 클래스로 여러개의 실행을 할거라면 main에 주석 달아서 자꾸 지우지 말고(Auto 사용말고) 긴거 사용하기 test. 뒤에 클래스명만 변경해 사용
Example exam = new Example();
//exam.myProfile();
//exam.inputProfile();
//exam.example1(); //연습문제1 실행
exam.example3();
-자료형 MAX_VALUE; / MIN_VALUE; (최댓값, 최솟값)
-Scanner 사용시 import 안하고 쓸 땐 소속된 패키지명만 쓰면됨
java.util.Scanner sc = new java.util.Scanner(System.in);
자료형 변수명 = sc.next();
-charAt(0); < 문자 1개 출력
-1byte는 1bit
-2진수가 몇개인지 확인할 때에는 Integer.bitCount(a);
-\u : 유니코드 표시 16진수. 유니코드로 직접.상수처리가능
-소스코드 포스팅하고 시간날때마다 볼 것.
-단축키 ctrl+shift+o = 임폴트 자동
'Begin 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5일차 (연산자) (0) | 2018.04.07 |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5일차 (0) | 2018.04.07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4일차 (형변환) (0) | 2018.04.06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4일차 (형변환) (0) | 2018.04.06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3일차 (변수) (0) | 2018.04.05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3일차 (변수와 Scanner) (0) | 2018.04.05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3일차 (0) | 2018.04.05 |
자바 프레임워크 과정 - 수강 2일차 (JAVA 프로그래밍 순서) (0) | 201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