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술면접/알고리즘

[알고리즘] 이진탐색: 범위를 반씩 좁혀가는 탐색

by ZEROMI 2023. 3. 23.
728x90

순차탐색(Sequential Search)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로 확인하는 방법

보통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찾아야 할 때 사용, 시간만 충분하다면 항상 답을 찾을 수 있다.

 

이진탐색: 반으로 쪼개면서 탐색하기(Binary Search)

배열 내부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하기 때문에 정렬되어 있다면 배우 빠른 속도로 탐색

이진 탐색은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3개를 사용하는데 탐색하고자 하는 범위의 [시작점], [끝점], [중간점] 이다.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탐색

 

트리 자료구조

- 트리는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의 관계로 표현된다.

- 트리의 최상단 노드를 루트 노드라고 한다.

- 트리의 최하단 노드를 단말 노드라고 한다.

- 트리에서 일부를 떼어내도 트리 구조이며 이를 서브트리라 한다.

- 트리는 파일 시스템과 같이 계층적이고 정렬된 데이터를 다루기에 적합하다.

 

이진 탐색 트리

- 부모 노드보다 왼쪽 자식 노드가 작다.

- 부모 노드보다 오른쪽 자식 노드가 크다.

- 왼쪽 자식 노드 < 부모 노드 < 오른쪽 자식 노드

트리 자료구조 중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가 이진 탐색 트리

이진 탐색이 동작할 수 있도록 고안된, 효율적 탐색이 가능한 자료구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