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기술면접42

구현: 상수 (백준 2908) ○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 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칠판에 적은 두 수 A와 B가 주어진다. 두 수는 같지 않은 세 자리 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 출력 첫째 줄에 상수의 대답을 출.. 2023. 3. 23.
구현: 음계 (백준 2920)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 2023. 3. 23.
[알고리즘] 정렬: 연속된 데이터를 기준에 따라 정렬 정렬 알고리즘 개요 졍렬(Sorting)이란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며, 정렬 알고리즘으로 정렬 시 이진탐색이 가능해진다. (이진탐색의 전처리과정) 많이 사용하는 정렬 알고리즘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퀵 정렬, 계수 정렬 선택 정렬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기를 반복 매번 가장 작은 것을 '선택' 삽입 정렬 선택 정렬에 비해 구현 난이도 높으나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 효율적 특정한 데이터를 적정한 위치에 '삽입' 퀵 정렬 정렬 라이브러리의 근간, 기준 데이터 설정 후 비교해가며 위치 변경, 가장 많이 사용 피벗 사용, 데이터의 개수가 많을수록 선택,삽입 정렬에 비해 압도적으로 빠른 속도 이미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을 경우 느림 계수 정렬 특정.. 2023. 3. 22.
DFS: 섬의 개수 (백준 4963) ○ 문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과 바다 지도가 주어진다. 섬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정사각형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은 걸어갈 수 있는 사각형이다. 두 정사각형이 같은 섬에 있으려면, 한 정사각형에서 다른 정사각형으로 걸어서 갈 수 있는 경로가 있어야 한다. 지도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가 주어진다. 1은 땅, 0은 바다이다.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0이 두 개 주어진다. ○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섬의 개수.. 2023. 3. 22.
728x90